컨설팅 리서치 방법 뭐가 다를까? - 리서치의 4대 핵심은

M&A나 투자 검토 시 수많은 데이터 소스 앞에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체계적인 리서치 없이는 치명적 리스크를 놓치거나 잘못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PE/VC 실무진이 사용하는 4대 핵심 영역별 검증된 정보 채널부터 전문가 네트워크 활용법까지, 성공적인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완전한 리서치 방법론을 확인해보세요.
brainconnect.ai's avatar
Sep 17, 2025
컨설팅 리서치 방법 뭐가 다를까? - 리서치의 4대 핵심은

의사결정에 핵심적으로 도움되는 결정적 리서치 성공하는 실무 방법

PE·VC·컨설팅·대기업 실무진을 위한 체계적 리서치 완전정복 시리즈

M&A 딜 검토, 신사업 진출 전략 수립, 경쟁사 분석 등 중요한 의사결정의 기로에 서있지만, 수많은 데이터 소스 앞에서 어떤 채널을 먼저 확인해야 할지 막막해하고 계신가요?

매일 쏟아지는 방대한 정보 속에서 진정으로 가치 있는 투자 인사이트를 발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경험, 투자 담당자라면 한 번쯤 있으실 거예요.

단편적인 정보에 의존하다 중요한 시그널을 놓치거나, 반대로 불필요한 정보 탐색에 귀중한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 콘텐츠에서는 그러한 문제를 말끔하게 해결하는, 체계적인 리서치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성공으로 귀결되는 M&A 및 투자의 첫 단추는 언제나 ‘체계적인 리서치’

성공적인 투자는 종종 과감한 결단력이나 천재적인 직관의 산물로 비치곤 합니다.

하지만 화려한 투자 및 M&A 성공 스토리의 이면을 알고 보면, 언제나 냉철하고 집요한 리서치 과정이 존재하죠.

여기서 말하는 리서치는 단순히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긁어모으는 행위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리서치란, 명확한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가설을 세우고, 신뢰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통해 이를 검증하며, 객관적인 사실과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해내는 '체계적인 과정(Systematic Process)'을 의미합니다.

체계적인 리서치가 투자의 성패를 가르는 첫 단추가 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 첫째, 치명적인 리스크를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리서치는 M&A, 정책, 기술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잠재적 위험 요소를 미리 식별하고, '모르고 당하는' 리스크를 '알고 관리하는' 리스크로 바꾸는 핵심 과정입니다.

  • 둘째, '진짜' 기회를 발굴하고 투자에 대한 확신을 강화합니다.

    체계적인 리서치는 표면적인 정보 너머에 있는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와 성장 동력을 파악하게 함으로써, 남들이 보지 못하는 기회를 포착하고 투자 결정에 대한 강력한 논리적 근거와 확신을 제공합니다.

결국, 체계적인 리서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는 '나침반'이자, 예측 불가능한 시장의 함정을 피하게 해주는 '안전장치'입니다.

리서치 잘 하는 법 투자 시장조사 m&a

투자 리서치의 4대 핵심 영역: 무엇을,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가?

체계적인 리서치는 막연하게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지도, 즉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접근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투자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크게 4가지 핵심 영역을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전체적인 그림을 완성해야 합니다. 각 영역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습니다.

① M&A 및 투자 동향: 시장의 열기와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단계

가장 먼저 시장의 '온도'를 재는 과정입니다. 이는 마치 투자를 위한 일기예보를 확인하는 것과 같습니다.

현재 어떤 산업 섹터와 기술에 자금이 집중적으로 몰리고 있는지,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은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인지 낮은 수준인지, 시장의 주요 인수자는 누구이며 이들의 전략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여 거시적인 시장 분위기를 읽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우리가 검토하는 투자가 시장의 큰 흐름에 순응하는 것인지, 혹은 역행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대적인 매력도를 가늠하는 기준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② 정책 및 규제 동향: 투자의 '게임의 룰'을 이해하는 단계

모든 비즈니스는 정부가 정한 규칙 위에서 움직입니다. 따라서 정책과 규제는 때로는 가장 강력한 성장의 촉매제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하루아침에 사업의 근간을 흔드는 거대한 장벽이 되기도 하는 '보이지 않는 손'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 기준, 특정 산업에 대한 정부의 육성 정책, 환경 및 데이터 관련 규제 강화 등은 투자 대상의 미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변수들을 사전에 면밀히 검토하는 것은 예상치 못한 리스크를 회피하는 수비적인 목적을 넘어, 규제 변화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공격적인 전략의 출발점이 됩니다.

③ 산업 및 기술 트렌드: 투자의 미래 가치와 성장 방향성을 가늠하는 단계

성공적인 투자는 과거의 실적이 아닌 미래의 성장성에 베팅하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시장 점유율이나 재무 성과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바로 미래의 방향성입니다.

지금 시장을 주도하는 기술이 5년 뒤에도 유효할지, AI와 같은 파괴적 기술이 산업의 지형을 어떻게 바꿀지, 소비자들의 행동과 가치관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등을 분석해야 합니다.

이는 우리가 투자하려는 기업이 순풍을 등지고 항해하는 배인지, 아니면 거센 역풍을 맞으며 힘겹게 나아가는 배인지를 판단하게 해주는 미래의 나침반과 같습니다.

④ 성장성 및 경쟁우위 분석: 투자의 본질을 파고드는 단계

거시적인 환경 분석이 끝났다면, 이제 현미경을 들고 투자 대상 자체를 깊이 들여다볼 차례입니다. 이는 '그래서 이 기업이 정말 돈을 벌 수 있는가?'라는 가장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자, 투자의 성패를 가르는 최종 관문입니다.

시장 성장률, 매출 및 이익 증가세 등 정량적인 '성장성'을 데이터로 증명해야 합니다. 동시에, 그 성장을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강력한 '경쟁우위(Moat, 해자)'가 무엇인지, 예를 들어 독점적인 기술력, 강력한 브랜드 파워, 네트워크 효과 등을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검증해야 합니다.

이 단계를 통해 비로소 우리는 해당 투자가 단순한 유행에 편승한 것이 아닌, 본질적인 가치를 지닌 것인지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4가지 영역을 균형 있게 분석할 때 비로소 투자 대상에 대한 다각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해집니다.

리서치 잘 하는 법 투자 시장조사 m&a

영역별 핵심 정보 소스 탐색: 어디서 데이터를 찾아야 하는가?

효율적인 리서치는 '어떤 정보를 찾아야 하는가'를 아는 것만큼 '어디서 찾아야 하는가'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정확하거나 신뢰도 낮은 정보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각 리서치 영역별로 검증된 핵심 정보 채널들을 소개합니다.

이 채널들을 북마크에 추가해두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리서치 효율은 극적으로 향상될 것입니다!

거시적 흐름 읽기: M&A 및 투자 동향 분석 채널

시장의 전반적인 트렌드, 주요 딜 정보, 투자자 동향 등을 파악하여 현재 시장의 돈이 어디로 흐르고 있는지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 Crunchbase (크런치베이스) : https://www.crunchbase.com/

    전 세계 스타트업과 기술 산업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플랫폼입니다. 특정 기업의 투자 유치 이력, 주요 투자자, M&A 현황 등 초기 단계의 기업 정보를 스크리닝하거나 특정 섹터의 자금 조달 트렌드를 파악할 때 필수적입니다.

  • PitchBook (피치북) : https://pitchbook.com/

    PE, VC 등 프라이빗 마켓(Private Market)에 대한 가장 깊이 있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딜의 상세 정보(밸류에이션, 배수 등), 펀드 정보, LP(출자자) 정보 등 매우 구체적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심층적인 실사(Due Diligence) 및 밸류에이션 분석에 독보적인 강점을 가집니다.

  • CB Insights (CB 인사이츠) : https://www.cbinsights.com/

    단순한 데이터 제공을 넘어, 기술 및 벤처캐피탈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특화된 리서치 기관입니다. 특히 인공지능, 핀테크 등 혁신 기술 분야의 시장 지도를 그리거나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데 탁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보고서로 유명합니다.

  • S&P Capital IQ (S&P 캐피탈 IQ) : https://www.spglobal.com/market-intelligence/en/solutions/products/sp-capital-iq-pro

    상장 기업 및 대규모 M&A 딜을 분석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입니다. S&P Global이 제공하는 만큼, 상세한 기업 재무 데이터, 애널리스트 리포트, M&A 거래 기록 등 광범위하고 공신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정교한 투자 분석의 기반이 됩니다.

  • MergerMarket (머저마켓) : https://info.mergermarket.com/

    M&A 시장의 '정보지'와 같은 역할을 하는 전문 서비스입니다. 공식적으로 발표된 뉴스뿐만 아니라, 시장의 루머나 잠재적인 딜에 대한 독점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M&A 시장의 숨겨진 맥을 짚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TheVC (더브이씨) : https://thevc.kr/

    국내 스타트업 및 벤처 투자 시장에 집중한다면 빼놓을 수 없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국내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정보, 창업가 및 투자사 정보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국내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용이합니다.

보이지 않는 변수 제거: 정책 및 규제 동향 파악하기

투자는 결국 정부가 설정한 '게임의 룰' 안에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책과 규제 변화는 투자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큰 외부 변수 중 하나입니다.

  • Federal Trade Commission (FTC, 미국 연방거래위원회) : https://www.ftc.gov/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M&A를 검토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기관입니다. 반독점법 관련 규제 동향이나 과거 기업결합 심사 사례를 통해 특정 딜의 승인 가능성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 European Commission (EU 집행위원회) : https://commission.europa.eu/index_en

    유럽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M&A나 투자를 진행할 경우, EU의 경쟁, 무역, 경제 정책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GDPR(개인정보보호규정)과 같은 규제는 플랫폼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공정거래위원회 : https://www.ftc.go.kr/www/index.do

    국내 M&A의 최종 승인권을 가진 핵심 기관입니다. 보도자료나 기업결합 심결사례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면, 어떤 유형의 M&A를 긍정적으로 보는지, 혹은 어떤 독과점 이슈에 민감한지 등 정부의 규제 기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각국 정부 사이트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특정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발표나 법률 개정안 등은 가장 확실한 투자 시그널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국가나 산업에 대한 투자를 고려할 때, 관련 부처의 공식 발표 자료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1차 정보 소스입니다.

미래 성장 동력 확인: 산업 및 기술 트렌드 리서치

성공적인 투자는 과거가 아닌 미래에 베팅하는 것입니다. 시장을 주도할 기술과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를 읽어내는 능력이 투자의 성과를 결정합니다.

  • TechCrunch (테크크런치) : https://techcrunch.com/

    가장 빠르고 트렌디한 기술 뉴스와 스타트업 소식을 접할 수 있는 IT 전문 매체입니다.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혁신 기술이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견하고 아이디어를 얻기에 좋습니다.

  • Forrester Research (포레스터 리서치) : https://www.forrester.com/bold/

    특정 기술이 실제 비즈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필요할 때 유용한 리서치 기관입니다. 단순한 기술 소개를 넘어, 시장 성숙도, 기업 IT 전략 등에 대한 심층 분석 리포트는 높은 신뢰도를 자랑합니다.

  • Google Trends (구글 트렌드) & 네이버 데이터랩 https://trends.google.com/trends/, https://datalab.naver.com/

    특정 기술, 제품, 브랜드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변화를 가장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검색량 데이터의 증감 추이를 통해 시장의 초기 반응을 예측하거나, 특정 트렌드의 확산 속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https://www.etri.re.kr/intro.html

    AI, 5G, 반도체 등 국내 ICT 기술의 연구 개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국가 연구 기관입니다. 기술의 원리와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어, 딥테크(Deep Tech) 분야 투자 검토 시 참고할 수 있습니다.

  • 트렌드모니터 : https://www.trendmonitor.co.kr/tmweb/main.do

    소비자의 심리와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파악하는 데 특화된 리서치 기관입니다.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분석 리포트를 통해,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가 실제 소비자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투자의 핵심 본질: 성장성 및 경쟁우위 분석

모든 리서치의 종착점은 '그래서 이 기업(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돈을 벌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입니다. 가설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증명하는 단계입니다.

  • Statista (스태티스타) : https://www.statista.com/

    다양한 산업의 시장 규모, 점유율, 소비자 데이터 등을 찾을 때 가장 먼저 방문하게 되는 글로벌 데이터 플랫폼입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시각화된 차트와 그래프로 제공하여, 발표 자료나 보고서를 작성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 Euromonitor (유로모니터) : https://www.euromonitor.com/

    특히 소비재 및 서비스 산업에 대한 글로벌 시장 조사에 강점을 가진 리서치 회사입니다. 특정 국가나 지역별 시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여, 해외 시장 진출 전략 수립 시 신뢰도 높은 근거 자료로 활용됩니다.

  • FnGuide (에프앤가이드) : https://www.fnguide.com/

    국내 상장 기업을 분석한다면 대체 불가능한 금융 정보 플랫폼입니다. 표준화된 재무 데이터, 사업 보고서, 증권사 컨센서스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사업 경쟁력을 분석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NICE BizLINE (나이스비즈라인) : https://www.nicebizline.com/

    국내 비상장 기업에 대한 신뢰도 있는 정보를 얻을 때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NICE신용평가 등 신용평가사가 제공하는 재무 정보와 신용 등급을 통해, 외부 감사를 받지 않는 기업의 안정성과 경쟁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ENS (Expert Network Service)

    정량적 데이터 분석 이후, 시장의 살아있는 목소리를 듣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입니다. 특정 산업 분야의 전·현직 임원, 핵심 실무자 등 검증된 전문가와 투자자를 연결하여 심층 인터뷰나 자문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데이터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산업의 미묘한 트렌드, 경쟁 구도, 숨겨진 리스크 등 질적 정보를 확보하여 가설을 최종 검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브레인커넥트AI : brainconnect.ai 브레인커넥트 AI는 단기간에 비즈니스 마켓의 전문적인 스터디를 가능하게 하는 비즈니스 인사이트 플랫폼입니다.

    관련 데이터와 전문가를 찾고 연결함으로써 리서치 업무를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비즈니스 창업, 운영, 투자, M&A와 관련된 고민을 하는 분들에게 유용하며, 특히 투자사, 경영컨설턴트, 기업 내 기획/M&A 및 R&D 담당자, 산하연구소 담당자들이 많이 이용합니다.

브레인커넥트AI 소개 영상

데이터를 넘어 의사결정을 위한 전문가 인사이트 확보하기

지금까지 소개한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다면, 투자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기 위한 뼈대는 완성된 셈입니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만으로는 2% 부족합니다.

데이터는 시장의 과거와 현재를 보여주는 '흑백사진'과 같아서, 시장의 미묘한 분위기, 핵심 인력의 실제 역량, 고객들의 숨은 불만, 경쟁사의 비공식적인 동향과 같은 생생한 '컬러'까지 담아내지는 못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성장성 및 경쟁우위 분석” 파트에서 소개한 ENS (Expert Network Service)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흑백의 리서치 결과에 생생한 컬러를 담기 위해서는 의사결정 단계에서 다양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현장의 살아 있는 심층적인 정보와 의견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ENS는 수많은 산업 분야의 검증된 전문가들과 투자 실무진을 연결하여, 다음과 같은 가치를 제공합니다.

  • 가설 검증: 리서치를 통해 도출한 시장 성장률, 기술 전망 등의 가설을 실제 필드 전문가의 경험을 통해 직접 검증하고 정교화할 수 있습니다.

  • 숨은 리스크 발견: 보고서에는 드러나지 않는 산업의 구조적 문제점이나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생생한 의견을 청취할 수 있습니다.

  • 미래 예측력 강화: 정량적 데이터를 넘어, 시장의 판도를 바꿀 미묘한 변화나 미래 트렌드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리서치 잘 하는 법 투자 시장조사 m&a

전문가 인사이트로 올바른 투자 의사결정 내리기

앞서 소개한 브레인커넥트AI는 47개국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한 브레인커넥트AI를 통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 기업 및 산업의 전문가를 연결해드립니다.

데스크 리서치만으로는 알 수 없는 현장의 생생한 인사이트를 통해 해당 기업의 성장성 및 실질적인 경쟁 우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의 리서치는 흑백의 텍스트와 숫자만으로 작성된 리포트에서 현장의 생생한 컬러가 담긴 살아있는 인사이트로 거듭나며, 이는 올바른 투자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브레인커넥트AI 리서치 컨설팅 전문가 인터뷰
브레인커넥트AI 고객 사례

브레인커넥트AI를 통해 각 분야 전문가들과 연결되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을 수립하시기 바랍니다.

브레인커넥트AI를 통해 전문가의 살아있는 인사이트를 확보해보세요.

결정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전문가 인터뷰로 여러분의 리서치를 완성하세요.

👉 브레인커넥트AI 전문가 네트워크 문의하기

✅ 브레인커넥트AI 회사 소개서 열람하기

다음편: M&A 투자 투자 방향 및 의사결정을 위한 전문적인 리서치 방법 (6/6편)

마지막 6편에서는 리스크를 기회로 전환하는 산업 규제 변화 분석 방법을 공유해드릴 예정입니다.

비즈니스 리서치 완전정복 시리즈

Share article

brainconnect.ai